-
728x90반응형
입춘(立春) - 양력 2월 4일
24 절기 가운데 첫 절기로, 이날부터 새해의 봄이 시작된다.
닥쳐오는 일 년 동안 대길(大吉)·다경(多慶)하기를 기원하는
갖가지 의례를 베푸는 풍속이 옛날에는 있었으나,
근래에는 입춘축만 붙이는 걸로 챙기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글귀로
-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
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고 경사스러운 일이 많이 생기기를 기원한다.
- '부모천년수 자손만대영(父母千年壽 子孫萬代榮)'
부모는 천년을 장수하시고 자식은 만대까지 번영하라.
- '수여산 부여해(壽如山 富如海)'
산처럼 오래살고 바다처럼 재물이 쌓여라. 등이 있다.
우수(雨水) - 양력 2월 18~19일
24 절기 가운데 두 번째 절기
우수는 눈이 녹아서 비나 물이 된다는 날이니, 곧 날씨가 풀린다는 뜻이다.
이 시기에는 꽃샘추위가 잠깐 기승을 부리지만
‘우수·경칩에 대동강 물이 풀린다.’는 말이 있는 것처럼
이 시기만 지나면 날씨도 따뜻해지고 봄기운이 돈다.
우수 무렵이 되면
수달은 그동안 얼었던 강이 풀림과 동시에 물 위에
올라오는 물고기를 잡아 먹이를 마련하고,
기러기가 북쪽으로 날아가며,
초목에는 싹이 튼다는 말이 있다.
경칩(驚蟄) - 양력 3월 5~6일
24 절기 가운데 세 번째 절기, 계칩(啓蟄)이라고도 한다
동면하던 동물이 땅속엣 깨어난다는 뜻으로,
날씨가 따뜻해서 초목의 싹이 돋기 시작한다는 의미이다
이 시기 농촌에서는
보리싹의 성장을 보면서 그 해 농사를 예측하였다.
몸이 건강해지기를 바라면서 산이나 논의 물이 고인 곳을 찾아다니며,
개구리 또는 도롱뇽 알을 건져다 먹었다.
또한, 경칩에는 흙일을 하면 탈이 없다고 하여, 벽을 바르거나
담을 쌓기도 하였다.
춘분(春分) - 양력 3월 20~21일
24 절기 가운데 네 번째 절기
이날은 음양이 서로 반인만큼 낮과 밤의 길이가 같고,
추위와 더위가 같다.
춥지도 덥지도 않아 1년 중 농사일을 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이며,
기온이 급격하게 올라가는 시기이다.
'천하 사람들이 모두 농사를 시작하는 달'
이 시기가 한 해의 농사가 시작되는 시기이다.
이때를 전후해 많은 바람이 분다.
'2월 바람에 김칫독 깨진다'는 속담이 여기서 나왔다.
'꽃샘추위' 역시 꽃이 필 무렵인 이때의 추위가
겨울 추위처럼 매섭고 차다는 뜻에서 비롯되었다.
이 시기 어촌에서는 고기잡이를 나가지 않고,
나가더라도 멀리까지는 가지 않는다.
728x90청명(淸明) - 양력 4월 5~6일
24 절기 가운데 다섯 번째 절기
하늘이 차츰 맑아진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날씨가 좋아야 시작하는 농사일이나 고기잡이 같은 생업 활동을 하기에도 수월하다.
손 없는 날을 특별히 정하지 않고도 이날 산소를 돌보거나,
묏자리 고치기, 집수리 같은 일을 한다.
곡우(穀雨) - 양력 4월 20~21일
24 절기 가운데 여섯 번째 절기, 봄의 마지막 절기
봄비가 백곡을 윤택하게 한다는 뜻이다.
이 시기 서해에서는 흑산도 근처에서 겨울을 보낸 조기 때가
북상해 조기잡이로 북적거리기 시작한다.
이때 잡히는 조기를 '곡우살이'라고 불리며
살은 적지만 연하고 맛이 좋다.
나무에 물이 오르는 시기이기도 하다
깊은 산속으로 곡우 물을 먹으러 가는 풍속이 있다.
자작나무·박달나무·산다래나무 등에 상처를 내고
통을 달아 며칠씩 수액을 받아두었다가 마시는데,
몸에 좋다고 하여 약수로 마시기도 한다.
728x90반응형'cul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8일 '세계 여성의 날' 함께해요! (0) 2023.03.07 24절기 알아보기 #겨울 (0) 2023.01.22 24절기 알아보기 #가을 (0) 2023.01.22 24절기 알아보기 #여름 (0) 2023.01.22 계절 변화를 알리는 #24절기 (0) 2022.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