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s longa vita brevis.
메인화면
  • 분류 전체보기
    • health
      • 아이건강
      • 어른건강
      • 약성분
      • 영양제
    • food
      • 식재료
      • 꿀팁정보
    • info
    • trend
    • culture
    • kid
메인화면
  • 분류 전체보기
    • health
      • 아이건강
      • 어른건강
      • 약성분
      • 영양제
    • food
      • 식재료
      • 꿀팁정보
    • info
    • trend
    • culture
    • kid
블로그 내 검색

Ars longa vita brevis.

생활에 관련된 모든 것 :)

  • health

    '성모·벌초'시, '벌 쏘임' 주의하세요!

    2023. 9. 14.

    by. meifi

    728x90
    반응형

    벌쏘임주의

    왜 8~9월에 '벌 쏘임' 사고가 증가할까?

     

     8~9월은 벌의 산란기(알을 낳는 시기)

     

    이 시기는 개체 수가 많아질 뿐만 아니라

    벌이 사람의 작은 행동에도 민감하게 반응한다.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야외활동 증가

     

    활동하기 좋은 날씨 탓에 등산객이 늘어남과

    동시에 추석을 앞두고 벌초나 성묘를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벌과 사람의 접촉이 늘어나

    벌 쏘임 환자가 집중적으로 증가한다.

     

     

    '벌 쏘임' 예방법

    ☑ 향수, 화장품, 스프레이 종류를 자제
    ☑ 어두운 색 계열의 옷에 공격성을 보이므로 흰색 계열의 옷 착용
    ☑ 소매가 긴 옷을 입어 팔 ․ 다리 노출 최소화
    ☑ 벌집을 건드렸을 경우 머리부위를 감싸고 20m 이상 장소에서 벗어나기

     

    '말벌'과 '꿀벌' 차이

    728x90

    ✔ 벌들의 차이점을 알아둔다면 벌들이 많은 곳을 피하거나, 빠르게 응급대처를 할 수 있다.

     

    출처:질병관리청

     

    '벌 쏘임'시 나타나는 증상

     

    ✔ 증상은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 쏘인 부위만 통증을 느끼거나 붓고 가려운 정도

    외에 별다른 증상 없이 자연스럽게 완치되는 경우가 많다.

     

    ☑ 심한 경우 호흡 곤란이나 가슴 답답함,

    어지럼증과 같은 아나필락시스(과민성 쇼크 증상)

    이 나타날 수도 있으니, 빨리 병원으로 이동한다.

     

    ✔ 아나필락시스 반응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며,

    구역, 구토, 호흡곤란, 입술 혀 목젖의 부종, 어지러움,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벌에 쏘였을 때 대처법

     

    ✔ 쏘인 직후라면 되도록이면 빨리 병원으로 이동한다.

    하지만, 바로 갈 수 있는 상황이라면 아래 대처법을 이용하자.

     

    ☑ 손, 핀셋을 이용하여 벌침을 제거하는 것은 

    벌침이 더욱 체내로 흡수될 수 있는 위험이 있어,

    신용카드 등으로 제거한다.
     

    ☑ 소독하거나 깨끗한 물로 씻은 후 얼음주머니 등으로

    찜질(통증 감소)하면서 붓지 않게 증상을 관찰한다.

     

    ☑ 아나필락식스가 의심되는 경우에는 즉시 119에 신고하거나,

    신속하게 병원으로 이동한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 주의사항 알아보기!

    야외활동이 많고 농사작업이 한참인 요즘 '진드기 매개 감염병' 환자가 많이 발생하는 시기로 환자의 50% 이상이 농작업과 관련되어 있다. 환자는 늘어나지만 아직 백신과 치료제가 없어 많은 관

    meifi.black-egg-roll.com

    728x90
    반응형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 산행시 주의!, '쯔쯔가무시병'  (2) 2023.09.21
    '주사'마다 맞는 부위가 왜 다를까?!  (0) 2023.09.15
    '가짜 배고픔' VS '진짜 배고픔' 구별하는 방법!  (3) 2023.09.06
    내가 '불면증'?! 증상 및 극복방법 알아보기!  (0) 2023.08.22
    '치아미백제' 올바른 사용방법 알아보기!  (0) 2023.08.08

    이 글을 본 사람들도 관심있게 본 글

    • 가을 산행시 주의!, '쯔쯔가무시병' 2023.09.21
    • '주사'마다 맞는 부위가 왜 다를까?! 2023.09.15
    • '가짜 배고픔' VS '진짜 배고픔' 구별하는 방법! 2023.09.06
    • 내가 '불면증'?! 증상 및 극복방법 알아보기! 2023.08.22
Designed by Organic
블로그 이미지
meifi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