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5. 26.

    by. meifi

    728x90
    반응형

    '아인슈타인이' 꿀벌이 사라지면 4년 안에 인류가 멸망할 거라는 예언이

    진실인 것처럼 알려져 있다.

     

    사실인지 아닌지는 알 수 없지만, 최근 우리나라 양봉농가에서 '꿀벌'들이 사라지고 있다.

    도대체 왜 '꿀벌'들이 사라지는 이유를 알아보자!

     

    꿀벌이 사라지는 이유

     

     

    꿀벌이 사라진다면?

     

    농가에 큰 타격


    국내에서 생산되는 농작물의 18%는 꿀벌이 없으면 

    생산량이 크게 줄어드는 작물들이 늘어난다. 

     

    과수원이나 채소 농가에서 작물들이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어야 하는 

    시기가 오면, 양봉농가가 과수원 등에 벌통을 빌려주거나 팔기도 해서

    벌들이 꽃가루를 옮겨 열매를 맺는 걸 도와준다.

     

    그렇기 때문에 꿀벌이 사라지면 농가가 큰 타격을 입는다.


    농작물 가격 인상


    꿀벌이 사라져 농작물 생산이 줄어들게 되면 자연스럽게 

    농작물 가격이 올라갈 수밖에 없다.

     

    코앞으로 다가온 여름 과일을 먹기 위해서는 이미 수분이 이뤄져야 하는데,

    꽃은 있지만 벌이 없어 과일 생산량이 20~30%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즉, 예년에 비해 과일들의 가격이 더 올라갈 예정이다.

     

     

    '아까시나무' 때문이다?!

    728x90


    보통 아카시아 나무로 이름이 잘못 알려진

    '아까시나무'의 개체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밀원 규모 감소

     

    벌이 꿀을 채취할 수 있는 식물을 ‘밀원’이라고 한다.

     

    이 밀원 중 아까시나무가 차지하는 비중이 굉장히 큰데,

    우리나라에 있는 벌들이 생존하기 위해서 필요하다고 추정되는

    밀원의 면적은 30만 ha로, 서울 면적의 5배가 조금 안 되는 넓이이다.

    아까시나무가 가장 많았던 80년대에는 아까시나무 숲 면적만

    32만 ha로 이미 지금 필요한 밀원의 규모를 초과했다. 

     

    하지만 현재 아까시나무 면적은 3.6만 ha로 거의 1/10 수준으로 감소했다. 

    우리나라 밀원의 전체 면적 또한 15만 ha로 필요량의 절반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

     

     

    아까시나무에만 의존


    아직까지도 우리나라 양봉업의 80% 정도가 딱 이맘때(5월~6월) 꽃이 피는

    아까시나무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아까시나무가 줄어드는 것은 양봉농가를

    비롯해 벌이 생존하기에 어려운 환경이 되는 것이다.

    수명이 끝난 아까시나무

     

    짧은 수명


    아까시나무는 60~70년대에 산림녹화 사업을 펼치면서 

    척박한 땅에서도 번식력이 좋다는 이유로 주로 심어졌다. 

     

    아까시나무의 원래 수명은 100년으로, 우리나라에 들여와 

    심은 나무들은 적응을 거치느라 40~50년 정도를 평균 수명으로 보고 있다.

    까다로운 나무

     

    번식력이 좋긴 하지만, 햇빛이 좋은 곳에서만 

    잘 자라기 때문에 그렇지 않은 환경에서는 다른 나무들에게 밀린다.

    즉, 60~70년대에 가져다 심고 번식한 것이 거의 1세대이자 마지막 세대인 상황이다.

     

     

    돈이 되는 나무 선호


    사람들이 아까시나무보다 돈이 되는 나무를 선호한다. 

    우리나라의 산림의 2/3는 사유지인데 대개 아까시나무처럼 

    돈이 안 되는 나무는 베어내고, 목재, 조경수, 특용작물 등 돈이 되는, 

    빨리 자라고 잘 팔리는 나무를 심는 경우가 많다..

     

    ✔  꿀을 만들어내는 나무들은 많다.

    대표적인 나무로는 헛개나무, 쉬나무, 찰피나무 등이 있다. 

    이런 나무들을 집중적으로 심고 관리해야 꿀벌을 살릴 수 있다.

     

     

    728x90
    반응형